통합 검색어 입력폼

'1479곳 중 19곳' 사라질 위기 놓인 주거 형태

조회수 2021. 1. 22. 12:00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다가오는 전세소멸

집값이 좀처럼 안정되지 않고 있다. 집은 물론 전세도 구하기 어렵게 되고, 좀처럼 오르지 않던 빌라 가격이 오르는 등 부동산 시장 구조 자체에 변화까지 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최근 부동산 시장 동향에 대해 알아봤다.


◇급감하는 전세 거래

출처: 더비비드


서울시에 따르면, 작년 8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는 3만5286건으로, 직전 4개월인 4~7월의 4만5388건과 비교해 22.6% 급감했다. 계절적 요인 아니냐고 할 수 있지만, 1년 전 같은 기간의 4만4113건과 비교해도 20% 감소했다.


전세 거래량이 급감한 가장 큰 원인은 ‘매물 품귀’다. 시장에 나오는 전셋집 자체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지난달 30일부터 입주를 시작한 서울 양천구 신정동 ‘래미안 목동 아델리체’는 전체 1497가구 중 전세 매물이 19가구뿐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지 아파트가 입주할 때 전세 매물이 쏟아지는 것을 생각하면 이상하다.


그렇다고 해서 분양받은 사람들이 모두 들어가서 거주하는 게 아니다. 전세 대신 반전세, 또는 월세가 크게 늘면서 전세가 줄어든 것이다.

출처: 더비비드


서울시에 따르면 작년 8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가 1년 전 같은 기간 보다 20% 급감하는 동안,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1만7045건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1만6160건 보다 5.5% 늘었다. 또 작년 1월엔 전세 거래량(1만1508건)이 월세(4631건)의 3배나 됐지만, 11월엔 월세(4561건) 거래량이 전세(6992건)와 비슷한 수준으로 치고 올라왔다.


일각에선 ‘전세 소멸’ 얘기까지 나온다. 그러면 내집 없는 서민의 어려움만 커질 수 밖에 없다. 월세나 외곽 전세로 밀려나는 것이다.


전세 소멸은 정부 대책도 원인이 되고 있다. 세입자가 한 집에서 4년까지 살 수 있고, 계약 갱신 때 임대료 인상률이 5%로 제한되자 집주인들이 전세 놓기를 꺼리는 것이다. 여기에 양도세 감면 요건이 되는 1주택자 실거주 의무화 정책이 강화되면서, 사정에 있어서 전세를 주고 전세를 살던 사람들이 내 집에 들어가 사는 경우도 늘고 있다.


◇빌라 가격 치솟아

출처: 더비비드


집값이 계속 오르는데 전세는 구하기 어려우면서 기존 외면받던 부동산의 가격이 오르고 잇다. 서울 빌라 거래량과 가격이 동시에 치솟는 것.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다세대·연립 매매 건수는 4622건으로 전달(4267건)보다 8.3%(355건) 늘었다. 


가격도 KB국민은행 통계 서울의 연립주택 평균 매매가격 기준, 작년 7월 2억9881만원에서 12월 3억1946만원으로 2065만원(6.9%) 올랐다. 직전 2년치 상승분(2078만원)과 맞먹는 금액이다. 작년 연간 서울 연립주택 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은 8.18%로, 2019년 상승률(1.71%)의 5배에 달한다. 실수요자 뿐 아니라 재개발 수요를 노린 투기 수요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 설명이다.


◇다주택자 사냥감 된 공시가 1억 이하 아파트

출처: 더비비드


그 사이 투기세력은 진화하고 있다. 정부 규제 사각지대를 노리는 것이다. 정부는 작년 7·10 부동산 대책을 통해 다주택자의 취득세율을 기존 1~3%에서 최대 12%로 강화하면서, 공시가격이 1억원을 넘지 않는 주택은 예외로 뒀다. ‘투기 대상으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였다.


그에 따라 다주택자가 또 집을 사도, 공시가 1억 이하는 1.1%의 취득세율만 적용받는다. 틈새시장이 된 것이다.


예를 들어 입주 34년 차인 경남 창원시 성산구 가음동 ‘은아아파트’ 전용면적 49㎡ 실거래가는 작년 상반기 1억7000만원에서 작년 11월 2억9000만원으로 뛰었다. 공시가격이 8500만원이라 다주택자들의 사냥감이 된 결과다.


비슷한 사례가 많다. 경남 김해시 내동 ‘홍익그린빌’ 전용 60㎡는 작년 초 7000만원 수준이던 실거래가가 연말 1억6000만원까지 치솟았다. 수도권에도 같은 사례가 있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 ‘탄현마을 부영 7단지’ 전용면적 50㎡가 지난달 1억8000만원에 거래되며 5개월 새 5000만원가량 올랐다.


/박유연 에디터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